JAVA/Spring

Spring MVC, DDD

whyHbr 2024. 4. 14. 17:46
728x90
반응형

MVC

 

Model : 데이터 처리 연산 로직 

//View 화면 : 스프링에서 화면을 잘 만들지 않아서 스킵할게요

Controller : 모델과 뷰를 이어주는 중간 매개체. 뷰에서 값이 오면 모델에게 일을 시키고, 모델이 결과를 주면 뷰에게 전달한다.

 

Model:

- 데이터를 가지고 연산을 하려면 데이터가 필요하다. 즉, DB와 소통이 가능해야 한다.

- Service : 로직 담당 클래스

- Repository : DB 소통 담당

 

Controller

- 사용자와 모델의 중간 매개체. 사용자가 요청하면 그에 맞는 모델 로직을 부른다 (Service를 부르겠죠?)

로직은 결과를 내서 다시 컨트롤러에게 전달하면 컨트롤러는 그 결과를 다시 뷰, 사용자에게 전달한다.

 

 

DDD : Domain Driven Design 도메인 주도 설ㄱ

Domain = 영역, 집합

 

ddd 설계란..

컨트롤러 패키지에 모든 컨트롤러를 모아두는 게 아니라 

이렇게, product 안에 프로덕트 컨트롤러, 레파지토리, 서비스가 있는 것. 

 

728x90

'JAVA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스프링의 주요 개념 : IoC, DI, Container, Bean  (0) 2024.04.14
게시판 CRUD  (0) 2022.12.06
Spring 구조와 @들 그리고 Controller-mapping-service  (0) 2022.12.04